반응형

 

지난 4월 한 달 동안 나는 모교로 교생 실습을 다녀왔다.

정확히는 교육실습생, 거칠게 말해 선생님 체험. ㅋㅋ

중학교 2학년 때 국어 선생님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한 이후 바뀐 적이 없었던 나의 장래희망은,

군 전역 후 망해버린 학과 아웃풋에 수능을 봐서 교대를 보는 것이 낫다는 생각에까지 이르게 하였다.

하지만 굳어버린 머리를 가지고 휴학생 신분으로 방구석에서 수능 공부를 한들, 제대로 될 리가 없었다.

그와중에 한 달 간 연애를 하고, 공연을 보러 다니고, 별 짓들을 다했던 기억이 난다.

수능 결과는 뻔했다. 교대는 커녕 이름 들어 본 국립대학도 들어가지 못할 수준이었다. 

(정시 원서를 아예 안 넣어 봐서 정확히는 모르겠다만..)

그래서 수능이 끝나고 알바를 하면서 결심했던 것이 공무원이었다.

나는 그때까지도 학교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해서, 학교에서 일하는 공무원이 된다면

교사인 척이라도 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교육행적직 직렬을 목표로 삼았었다.

그래서 2018년 1월부터 교육행정직을 목표로 알바비를 털어 공단기 프리패스를 끊었고

한 학기를 더 휴학했다. 수능 공부에서 공무원 공부로.

처음엔 좋았다. 점점 외로워졌다. 결국 그 해 국가직과 지방직은 응시하지 않았다.

그렇게 나는 아무 것도 되지 못한 채 1년을 허비한 후 학교로 돌아왔다.

2학년 2학기로 다시 학교를 다니려니 너무 힘들었다. 아는 사람은 떠나가고, 나를 실패한 사람 취급하는 

눈빛들도 더러 보였다. 그들은 그렇게 보지 않았다고 하겠지만..

그렇게 작년 2학기를 보내고, 올해 3학년 1학기가 되어 교생 실습을 나왔다.

모교 중학교로 가게 되었는데, 내가 걱정하고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좋았다.

'이렇게 일하고 돈 받으면서 생활하면 정말 행복할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학생들과 이야기하고, 그들의 말을 들어주고, 나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서로의 미래에 대해 교감하는 과정이 너무 행복했다.

내가 전체를 보지 못한 것일수도 있지만, 교장, 교감, 부장 급이 아닌 평교사끼리는

이렇다할 상하관계조차 보이지 않았다. 너무나도 수평적인 조직으로 보였던 것이다.

아마 내가 꿈꿔왔던 직장이 이런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과, 일을 하면서 보람을 느낄 수 있고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닌 삶을 산다면 내 인생이 정말 풍요로워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고민을 하고 있다. 나는 어떻게 할 것인가.

교사의 꿈을 다시 한 번 꿀 것인가.

아니면 현실을 직시하고 공무원 준비를 계속 할 것인가.

모두가 알고 있듯, 정답은 없고 어느 쪽이 더 나은 것인지는 모른다.

결과가 어떻게 될지도 아무도 모른다.

쉬운 길은 없다는 것.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고민하는 요즘.

나는 어떤 사람이 되어있을까.

반응형
반응형



  복학할 때가 점점 다가오니 학점 관리와 졸업인증제, 과목 선택 등 학교 생활에 대해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던 와중 '꿀교양'이라는 단어를 보고 이 단어에 대해 잠시 생각해보았다. 꿀교양을 정의하자면, 교수님이 수업에 자주 빠져 수시로 휴강을 하고 조별과제나 다른 레포트 등이 적으며 공부를 하지 않아도 시험 점수가 잘 나와 학점을 취득하기 쉬운 수업 정도가 될 것이다. 한 마디로 학업과는 관련이 없고 그저 학점만 잘 챙겨 나올 수 있는 과목을 말한다.

  이 반대의 특성을 가진 수업을 꿀교양이라고 하는 학생을 나는 본 적이 없다. 또한 그런 수업을 좋아하는 학생 또한 보지 못했다. 내 개인적 경험을 일반화하기엔 비약이 있지만,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소위 꿀교양이라 불리는 그런 수업을 그렇지 않은 수업보다 선호할 것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보면 애초에 대학교의 목적이 이미 학업이나 면학과는 거리가 멀어졌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학부 졸업장이 취업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면, 그리고 학부 졸업생과 고졸 간의 사회적 시선이 차이가 없다면 과연 대학교에 진학하는 사람이 몇 퍼센트가 될지 궁금하다. 문제는 뭐든지 줄세우고 서열화하는 한국인 저변에 깔려 있는 관습적 문화가 대학을 하나의 스펙으로 만들어버렸다는 것에 있다. 대학 진학률 80퍼센트라는 엄청난 결과가 나온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모두가 다 하는 것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Specification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대학을 나온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지식 수준이 높은 것은 사실이고, 그런 사람을 일반적인 직장에선 더 우대한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들과 다른 근본적인 문제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치 군필자를 우대하면서 상대적으로 미필자를 무시하는 경향을 가지는 것과 비슷하다.

  나도 대학에서 국어교육을 전공하고는 있지만 대학을 나오지 않았다고해서 절대 그사람들이 나보다 열등하다고 느끼지 않는다. 단지 내가 선택한 국어교육에 대한 지식을 내가 조금 더 알고 있다는 정도의 차별점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서양사람들을 예로 들자면, 그들은 자유민주주의를 본인들 스스로가 쟁취하여 만든 민족들이다. 절대왕정을 민중의 힘으로 끌어내린 사람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유의 개념이 깊숙히 뿌리내리고 있고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사실을 표면적으로만이 아니라 행동으로 실천하고 있다. 동양에서는 일본의 군중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일본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친절하다. 그들의 예의를 중요시하는 문화도 한몫을 하겠지만, 사람 대 사람으로 존중받는다는 느낌은 이면의 그런 것에서 나오지 않으면 할 수 없는 태도이다.

  사람은 한 가지 일만 잘 하면 그것으로 평생을 먹고 살 수 있다. 대학은 그 중 한가지에 지나지 않는다. 또는 그 일을 찾기 위해 도움을 주는 디딤돌 역할에 그쳐야 한다. 또한 대학을 나오지 않았다고 하여 사람을 무시하는 문화적 세태가 하루빨리 사라지기를 간절히 희망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