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학할 때가 점점 다가오니 학점 관리와 졸업인증제, 과목 선택 등 학교 생활에 대해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던 와중 '꿀교양'이라는 단어를 보고 이 단어에 대해 잠시 생각해보았다. 꿀교양을 정의하자면, 교수님이 수업에 자주 빠져 수시로 휴강을 하고 조별과제나 다른 레포트 등이 적으며 공부를 하지 않아도 시험 점수가 잘 나와 학점을 취득하기 쉬운 수업 정도가 될 것이다. 한 마디로 학업과는 관련이 없고 그저 학점만 잘 챙겨 나올 수 있는 과목을 말한다.

  이 반대의 특성을 가진 수업을 꿀교양이라고 하는 학생을 나는 본 적이 없다. 또한 그런 수업을 좋아하는 학생 또한 보지 못했다. 내 개인적 경험을 일반화하기엔 비약이 있지만,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소위 꿀교양이라 불리는 그런 수업을 그렇지 않은 수업보다 선호할 것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보면 애초에 대학교의 목적이 이미 학업이나 면학과는 거리가 멀어졌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학부 졸업장이 취업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면, 그리고 학부 졸업생과 고졸 간의 사회적 시선이 차이가 없다면 과연 대학교에 진학하는 사람이 몇 퍼센트가 될지 궁금하다. 문제는 뭐든지 줄세우고 서열화하는 한국인 저변에 깔려 있는 관습적 문화가 대학을 하나의 스펙으로 만들어버렸다는 것에 있다. 대학 진학률 80퍼센트라는 엄청난 결과가 나온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모두가 다 하는 것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Specification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대학을 나온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지식 수준이 높은 것은 사실이고, 그런 사람을 일반적인 직장에선 더 우대한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들과 다른 근본적인 문제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치 군필자를 우대하면서 상대적으로 미필자를 무시하는 경향을 가지는 것과 비슷하다.

  나도 대학에서 국어교육을 전공하고는 있지만 대학을 나오지 않았다고해서 절대 그사람들이 나보다 열등하다고 느끼지 않는다. 단지 내가 선택한 국어교육에 대한 지식을 내가 조금 더 알고 있다는 정도의 차별점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서양사람들을 예로 들자면, 그들은 자유민주주의를 본인들 스스로가 쟁취하여 만든 민족들이다. 절대왕정을 민중의 힘으로 끌어내린 사람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유의 개념이 깊숙히 뿌리내리고 있고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사실을 표면적으로만이 아니라 행동으로 실천하고 있다. 동양에서는 일본의 군중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일본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친절하다. 그들의 예의를 중요시하는 문화도 한몫을 하겠지만, 사람 대 사람으로 존중받는다는 느낌은 이면의 그런 것에서 나오지 않으면 할 수 없는 태도이다.

  사람은 한 가지 일만 잘 하면 그것으로 평생을 먹고 살 수 있다. 대학은 그 중 한가지에 지나지 않는다. 또는 그 일을 찾기 위해 도움을 주는 디딤돌 역할에 그쳐야 한다. 또한 대학을 나오지 않았다고 하여 사람을 무시하는 문화적 세태가 하루빨리 사라지기를 간절히 희망한다.

반응형
반응형

교수님 안녕하세요. 교대에 가겠다고 호기롭게 학교를 박차고 나왔지만, 보기 좋게 실패했습니다. 복학신청 일정을 알아보다가 포탈에 교수님께서 쓰신 상담 내용을 보았는데, 교수님은 제 결과를 예상하셨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고등학교 시절보다 열심히 공부했고, 그때보다 나태할 때도 있었지만, 그때보다는 성적이 높게 나왔습니다. 교대 입시에는 모자란 점수지만 실패했음에도 뿌듯한 감정이 남는 이유는 아직 저도 완전히 이해가진 않습니다.

수능 시험을 치르고 나오면서 정말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스물 세 살에 수능 공부를 하면서 교대 말고는 다른 진로를 생각 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더 좌절했고, 실패를 인정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문득, 수능을 보겠다고 다짐한 것과 휴학을 결정한 것 또한 '도전'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성패와 관계 없이 저는 제가 무언갈 도전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다른 직업을 희망하는 걸 두려워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반드시 교사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니다'라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저는 지금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부모님의 일을 돕고 있습니다. 제 부모님께서는 사진관을 운영하시는데, 사진을 찍고 수정하는 일이 생각만큼 쉽진 않지만, 생각보다 재밌습니다.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잘 알고 도전하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느냐만은, 저는 계속 이런 식일 것 같습니다. 모르고 부딪히고, 후회하면서도 만족하는 그런 사람이요. 다가오는 많은 '오늘'들은 누구에게나 처음이지 않겠습니까. 저는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제 오늘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일을 찾고 싶습니다.

그래서 아직 어떻게 할지 진로를 정하지는 못했지만, 급하게 생각하고 싶진 않습니다. 부모님 곁에서 일을 하면서 한 학기 더 시간을 갖고 생각해보고 싶습니다. 만약 다시 복학을 하더라도 교사를 꿈꾸지는 않으려고 합니다. 여기까지가 제가 한 학기 휴학을 더 하겠다는 결론을 내린 계기입니다. 두서 없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의 의견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